인프런 PM 강의 1회차
반응형

PM이 무슨 일을 하는지부터 PM은 어떻게 되는가 에 대한 내용이다.

 

PM의 주요 업무

   - 제안 / 수주

   - 프로젝트 준비

   - 프로젝트 진행 관리

   - 이후 관리

 

PM의 구분

   - 전문 PM (IT 프로젝트 관리만 전문으로 진행 - 규모가 큰 프로젝트)

   - 기획자 PM (기획자가 PM업무를 함께 진행)

   - 개발자 PM (기술 중심의 프로젝트가 많을 때)

 

회사의 규모에 따른 PM이 되는 과정 (반드시 그렇다는 건 아니고 보편적으로)

   - 스타트업 -> 기획자 혹은 개발 팀장이 PM역할 동시 진행

   - 소기업 -> 경력있는 개발자가 PM역할 진행

   - 중기업 -> 소기업보다 연차가 높은 경우가 많음

   - 대기업 -> 별도의 PM 조직

 

회사의 종류에 따른 PM이 되는 과정 (반드시 그렇다는 건 아니고 보편적으로)

   - 웹에이전시 -> 역량에 상관없이 기획 경력이 있다 싶으면 PM업무를 병행함

   - SI -> 개발자가 경력을 쌓으며 PM으로 직무 전환

   - 솔루션 -> 솔루션 전문가가 PM으로 직무 전환

   - 서비스 -> 기획자가 개발을 배우며 PM으로 직무 전환

 

 

PM지망생이라면 궁금할 신입PM이 많이 없는 이유

   - PM의 핵심 업무 중 하나는 인력 관리가 있는데 신입은 본인보다 많은 경력을 가지고 있는 선배들을 관리하기 어렵다.

   - PM은 기술보다 경험을 기초로 협상과 의사결정 및 문제를 관리하는 업무이기에 경험이 없으면 쉽지 않다.

 

 

PM이 되는 과정은 회사 by 회사가 많을 것 같다. 누구나 각자 상황이 있기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