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키코드(ASCII Code)
반응형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A'; System.out.println(a); } }

자바를 배우다 보면 위의 코드가 조금 이상한 것을 알 수 있다.

int는 숫자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인데 문자인 알파벳 A가 들어가있다.

자료형이 다른데 에러가 안뜬다.

게다가 Eclipse나 VSCode 같은 IDE로 보아도 에러가 뜨지 않는다.

코드를 실행해보니 65라는 숫자가 찍혀있다.

왜 이런 결과가 나타날까?


그것은 자바가 문자를 표현할 때 아스키코드를 기반으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컴퓨터 언어는 숫자이기 때문에 문자를 숫자화 시켜서 컴퓨터에게 보여줘야 한다.

(그럼 도대체 숫자라는 개념은 어떻게 인식시켰을까...)

1960년대에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직역하면 정보 교환을 위한 미국의 표준 부호 이다..

컴퓨터가 탄생한 초창기에는 기계어(Machine Code)로 프로그래밍을 했다고 한다.

충격적인 기계어 모습...       출처 : 나무위키

CPU마다 기계어도 다르다 보니 표준을 만들 필요를 느꼈다.

그래서 미국에서 표준을 만든 것이 ASCII이다..

아스키 코드 표를 보자


자바에서는 아스키코드를 기반으로 알파벳을 표현하기에 A에 해당하는 숫자 65가 나오는 것이다

0부터 31번 그리고 127번은 제어문자라고 해서 아직 쓰이는 곳이 몇 있긴 하지만 이제는 거의 역사로만 남겨져있다고 한다

반응형